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1

우리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 문제 해결과 의사 결정 사고 및 문제 해결의 두 가지 유형 Daniel Kahneman(2011)은 인간의 사고를 두 가지 체계의 측면에서 기술했다. 우리는 빠르고 자동적인 과정(친숙한 얼굴 알아보기나 일상적인 행위)과 쉽다고 생각하는 물음에는 체계 1(System 1)을 사용한다. 체계 1은 대개 무의식적으로, 혹은 적어도 큰 노력 없이 진행된다. 우리는 수학 계산, 증거를 평가하기, 그리고 주의집중이 필요한 다른 모든 것에는 체계 2(System 2)를 사용한다. 체계 1은 시간과 에너지를 아껴 주므로 우리는 가능한 한 언제나 그것에 의존한다. 최대화와 필요 충족 "어느 직업을 택할까?" 혹은 "돈을 어덯게 쓸까?" 같은 질문에 대해서도 우리는 어림법을 사용한다. 필요한 정보가 우리에게 전부 있는 것이 아니며 '맞는' 답을.. 2022. 11. 27.
주의(attention)란 무엇인가? 주의와 범주화 인지(cognition)는 사고 및 지식의 사용을 의미한다. 인지심리학자는 또한 사람이 사고를 어떻게 언어로 풀어내는지도 연구한다. 인지는 무언가에 주의를 기울이는 일 그리고 그것이 무엇인지 범주화하는 일로 시작된다. 연구자들이 인지 과정에 대해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대략 1970년부터 심리학자들은 관찰할 수 없는 것을 추론해내는 다양한 방법을 개발해 왔다. 인지심리학에서 하는 연구 인지심리학이 단순할 것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사람이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아는 것이 무엇인지 알고 싶으면, 그냥 물어보면 되지 않겠어?"라고 말이다. 심리학자들이 실제로 물어보는 경우도 있지만 사람이 자신의 사고 과정을 늘 알고 있지는 않다. 다음의 실험을 보자. 실험자가 한 번에 두 개의 카드를 제시하는데.. 2022. 11. 27.
왜 우리는 망각하는가? 기억상실증 인출과 간섭 무언가를 기억해 내려 할 때 과거에 학습했던 다른 내용과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기억연구의 선구자, Hermann Ebbinghaus가 기억나는가? Ebbinghaus는 13대 무의미철자로 구성된 다양한 목록들을 얼마나 오랫동안 기억하는지를 측정했다. 목록을 외운 뒤 1시간이 지나면, 평균적으로 각 목록의 무의미철자들의 반 이상을 망각했다. 얼마나 절망적인가! 이렇게 빨리 망각하는 것이 사실이라면, 우리의 교육은 무의미한 일이 될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24시간이 지나도 무의미철자의 90% 가까이 기억한다. 대학생들이 Ebbinghaus보다 무의미철자 목록을 더 잘 기억하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이 대학생들은 사실 아주 똑똑한 친구들일 거라고 말하고 싶을거다. 음, 그.. 2022. 11. 27.
기억을 잘 하는 방법은? 부호화, 저장, 인출 여러분은 경험했던 일을 기억하지 못해서 곤경에 처한 적이 있는가? 어떤 한 여자는 기억을 멈출 수 없어서 고통을 느꼈다는 보고가 있다. 이 여자는 가령, 특정 날짜를 보거나 들었을 뿐인데 그때 있었던 일화들의 기억이 홍수처럼 자신을 엄습해 온다는 것이다. 당신은 이 여자의 아주 자세한 일화기억 능력을 원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그녀는 자신의 기억에 너무 매여 있어서 현재에 집중하기가 너무 힘들다고 하니 말이다. 그렇지만, 여전히 당신은 기억하고 싶은 것들을 더 잘 기억하길 원할 것이다. 기억은 부호화, 저장, 인출, 이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기억 내용을 인출하려고 할 때, 그 내용을 처음에 잘 부호화하지 못했다면 너무 늦었다는 점이다. 기억을 증진시키려면, 공부하는 방식을 향상키지자. 부호화 어.. 2022. 11. 27.